산행후기

용화산 342m, 용리산 306.8m 전북 익산 금마면 20240706

원태산 2024. 7. 8. 11:22

* 익산시 서북쪽의 익산미륵사지를 품고 있는 미륵산 옆에 있는 용화산/용리산은 오르

   내림이 완만하여 인근 주민의 사랑을 많이 받는 듯, 찾는 사람이 많다.

   낮은 산임에도    소나무와 참나무가 주를 이루는 울창한 숲길은 여름 산행에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용화산 지나 전망점까지는 비교적 많은 산꾼을 만나지만 이후 찾는이를 거의 볼 수

   없었다. 그런 탓인지 용리산 이후의 길은 이정표가 없고 길 찾기가 어려웠으며,

   특히 둘레길은 거의 안내표식을 찾기 못했다. 하여 세번의 길 놓침으로 마지막은

   길 없는 산을 타고 겨우 용화산 오른는 길을 만나 하산 했다. 

   용화산둘레길은 폐쇄된 듯하니 발걸음을 않는게 좋겠다.  

 

1. 개념도: 티스토라, 복사골(공성호) https://gsh9590.tistory.com/8835284

2. 산행경로

서동공원(마한박물관 앞 주차장)-헬기장-용화산-돌탑(2) 삼거리-

사거리(아리랑고개 이정표)-용리산-벌목지삼거리-상양마을도로(서동요길)-

에벤에셀축복수양관-쑥고개생태터널-용화리사거리(신탄길진입)-

양곡소세양신도비(화산제)-대나무숲 뒷길-없는길-등산로합류

(출발점에서 약 1.5km 지점)-마한박물관 주차장: 약12.6km, 약5시간20분 소요

(점심20분 및 휴식20분 포함)

 

3. 트랭글 기록

https://www.tranggle.com/course/TTYxbzc3?year=2024&search_val=&category=&region=&view_count=50&page=1&listTab=MY

 

트랭글 GPS 게임 같은 운동앱, 등산 걷기 자전거 만보기

트랭글은 여러분이 게임 속 캐릭터가 되어 다양한 운동과 정해진 코스를 따라 인증배지를 획득하는 운동앱 입니다.

www.tranggle.com

 

4. 추억 그림

금마서동공원 동쪽 끝에 있는 마한박물관.
등산로는 마한박물관 앞 주차장 오른쪽(동쪽) 끝에 있다. 시작부터 숲길이다. 출발~~. 09:27
09:29
09:39
소나무 숲 09:46
09:48
삼거리 쇠골고개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나는 삼거리. 09:50, 1.0km.
밧줄난간1, 10:06, 1.77km.
밧줄난간 2, 10:13, 2.05km.
편백숲, 10:16.2.12km.
밧줄난간 3, 10:20,2.45km.
헬기장, 10:22, 2.37km.
헬기장 끝에 있는 경고판. 등산로 왼편에는 군부대 '경고판'이 여러 차례 보인다. 예전에 이곳 일대가 군 사격장이었던 흔적이다. 10:24.
밧줄난간 4, 10:26. 2.45km.
용화산 정상, 10:30.
정상 표지판, 10:30, 2.58km.
정상은 가운데 묵은묘가 있고 주변으로 길이 나 있다.
용화산 정상의 이정표. 10:32. 진행.
길 왼편에 철조망이 나타난다. 철조망은 전망점까지 이어진다. 10:39. 3.0km.
바위, 10:41
전망점, 10:47. 3.25km. 전망은 미륵산과 그 남쪽
미륵산, 미륵산선이 보인다.
미륵산 북쪽
용리산(오른쪽 봉)
어~! 여기도 철조망이 있네.^^
두개의 돌탑.
삼거리, 두개의 돌탑 중 두번째 돌탑, 오른쪽 진행. 10:54. 3.6km.
아리랑고개 사거리. 10:57. 3.68km.
이정표는 아리랑고개 방향만 표시하고 있다. 왜 그런지 그때는 몰랐다. 이후 이정표도 인적이 없다.
직진(진행)방향
삼양마을 방향.
직진하여 조금 가면 만나는 작은 돌탑, 10:58.
또 삼거리. 오른쪽 진행. 11:00, 3.8km.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며 만난 국가지점번호와...
묵은묘들.
울창한 소나무 숲이 나타난다. 11:02
11:02
11:03
11:06
용리산 정상, 11:08. 4.22km.
용리산 삼각점.
용리산 정상석, 아담하다.^^
용리산을 떠나며... 11:16. 정면으로 뚜렷한 길이라 의심없이 내려 갔는데 알고보니 삼양마을 가는 길이다. 이병기선생 생가로 가고 싶었는데 처음으로 길을 놓쳤다.
소나무 숲이 좋아 아무 생각없이 내려간다.
중간의 묘한 돌. 용화산 4-5 표지판. 11:30. 5.04km.
벌목지 입구. 여기서 오른쪽으로 진행해야 삼양마을 방향임. 11:34. 5.22km. 직진하여 알바함.
벌목지 모습.
직진하여 닿은 숲, 어~? 잘못왔다. 11:36. 5.34km.
다시 삼거리 지점으로 돌아가며 본 벌목지.
삼거리로 돌아가며 본 용화산
삼거리로 돌아와서 삼양마을 방향으로 내려감. 11:40. 5.47km.
길 끝의 숲 진입 부위와... 11:44. 5.75km.
임시도로. 진행은 임시도로 방향.
내려온길을 본다. 11:48.
임시도로로 내려간다. 12:09.
벌목지가 이어진다. 산불이 난 지역이라면 꽤 넓은 범위다. 12:13
원추리
이길을 따라 오른쪽으로 계속가면...
도로(서동요길)와 합류. 12:18. 6.45km. 삼양마을 쪽 모습.
원수저수지 방향 모습
원수저수지 방향으로 내려가면 오른쪽에 진행해야할 촌락이 보인다.
삼양마을 표석
에벤에셀축복수양관 방향으로 진행. 12:31.

사실 원수저수지 옆까지 깄다가 여기로 돌아옴.

이때부터 둘레길에 대해 혼선이 옴. 둘레길은 에벤에셀수양관에서 오른쪽으로 172봉으로 올라야 하는데 지나쳐 고개를 넘어버렸다. 두번째 길놓침. 둘레길 표식이 전혀 없었다.

그탓에 1번 국도를 따라 쑥고개 생태터널을 지나 용화리로 들어선다.

1번 국도 쑥고개 터널 지나 만난 도로변 안내판. 12:51.
1번 국도에서 본 용화산.
용화리 버스정류장 옆의 진주소씨 비석. 12:55, 9.13km.
용화저수지
소천문??? 12:59, 9.36km.
소천문 내부 제각 모습
양곡 소세양 신도비.
위 안내판 안쪽의 제각(화산제) 모습. 13:08. 9.51km. 여기서 세번째 길놓침. 왼쪽으로 가야하는데 대나무숲에 홀려 직진한다.
백도라지
보라 도라지
대나무 숲이 보여 직진하여 길을 재촉한다. 13:12
대나무 숲 뒷길. 13:17
길이 끊어졌다. 지금 부터 생~~고생길.
산능성이에서 본 도순(용화)저수지
용화산 가는 등산로 도착. 13:59. 10.2km. 40 여분 간 없는 길을 찾아 헤메다. 등산로에 합류함. 약20분 휴식.
내려가는 길에 금마저수지가 보인다. 14:32.
마한 박물관 도착. 산행 종료. 14:38. 12.6km.
마한박물관 앞 주차장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