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후기

서방산 612.1m, 종남산 608.4m, 봉서사. 전북 완주 용진읍 20240614

원태산 2024. 6. 17. 14:09

1. 개념도: 티스토리 '힘날세상의 산이야기'

    https://himnal.tistory.com/522  

 

2. 산행경로

주차장-밀양박씨제실-정경부인묘소-사거리-서방산-남은재-종남산-남은재(빽)-

봉서사-주차장: 약8.42km, 약4시간45분 소요

(점심 20분, 봉서사 탐방 20분, 휴식 10분 포함)

 

3. 트랭글 기록

https://www.tranggle.com/course/TTV6dHFW?year=2024&search_val=&category=&region=&view_count=50&page=1&listTab=MY

 

트랭글 GPS 게임 같은 운동앱, 등산 걷기 자전거 만보기

트랭글은 여러분이 게임 속 캐릭터가 되어 다양한 운동과 정해진 코스를 따라 인증배지를 획득하는 운동앱 입니다.

www.tranggle.com

 

4. 추억 그림

들머리/날머리 주차장에 있는 등산안내도
주차장에서 본 왼쪽 진행 방향과 오른쪽 봉서사 방향.

주차장 주소: 완주군 용진읍 간중리 산71

주차장의 이정표, 09:47
밀양박씨제실 가는 길
밀양박씨제실, 09:49
위 사진 찍은 곳의 왼쪽에 정경부인묘소 가는 포장길이 있다.
정경부인의 묘소가 8대 명당이라는 안내판
밀양박씨제실 오른쪽 끝이 진행방향.
제실의 오른쪽 끝의 모습, 제실 뒤쪽으로 난 길을 따라 간다.
제실 뒤쪽의 길 모습, 09:52
정경부인묘소 이정표, 10:03, 0.55km.
정경부인묘소 모습
왼쪽 포장도로는 올라오는 길, 등산로는 오른쪽이다.
가파르다가 완만하고 다시가파르고를 3~4회 반복하면 사거리에 닿는다.
전망점 바로 아래의 묘한 바위. 10:36
전망점, 10:37, 1.17km.
전망점에서 본 서쪽 조망.
서북쪽 조망
완만한 지능선길.
주능선에 닿으면 사거리 이정표가 보인다.
사거리 이정표, 10:57, 1.6km. 오른쪽 진행.
사거리에서 오른쪽으로 약80m 진행하면 삼거리 이정표를 만난다. 또 오른쪽 진행, 11:00, 1.68km.
오늘 산은 시종일관 소나무와 참나무가 한껏 어울어진 숲속길이다.
서방산 직전의 소나무. 11:13.
서방산 정상 표지판
서방산 정상 표지판, 11:14, 2.0km.
서방산 정상은 너른 헬기장이다.
서방산의 조망, 서쪽
종남산 방향.
운장산(남서) 방향
동쪽 써래봉 방향
북쪽 방향
남쪽 끝, 이정표 자리. 이정표를 복구한다는 흰 팻말이 있다. 여기가 봉서사로 가는 첫 갈림길 자리인데 찾질 못했다. 11:19
봉서사 두번째 갈림길
봉서사 두번째 갈림길 이정표, 11:28, 2.41km.
키 높이의 조릿대 길
550봉, 11:36, 2.7km.
553봉, 전망점. 전망이 없음. 점심 11:44, 3.05km.
전망점에서 점심 끝. 12:04.
남은재
남은재 이정표, 12:14, 3.5km.
오르막길
나무 사이로 종남산이 보인다.
가파른 오르막길의 조릿대(산죽)
밧줄, 이 밧줄 끝에서 오른쪽으로 돌면 종남산 앞 이정표가 나온다. 12:34. 4.2km.
종남산 앞 삼거리 이정표, 12:35, 4.21km. 왼쪽 진행.
평지 수준의 길을 따라가면
종남산 정상.

https://www.wanju.go.kr/tour/planweb/board/view.9is?dataUid=74724ea321b9430e83871d110e482f39&&contentUid=ff8080818c5d9e6d018ca46554e168a7&tmpField14=&boardUid=ff8080818cc8d9ca018cc96363d8063b&page=1&subPath=/tour

 

완주군 문화관광 > 완주관광 > 관광명소 > 산/공원 > 종남산(읽기)

산/공원 HOME  <  완주관광 < 관광명소 < 산/공원 종남산 주소 :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연락처 : 063)290-3563 관리소 : 소양면사무소 상세정보 풍부한 영천수가 솟아오른 곳 종남산은 전주에

www.wanju.go.kr

 

종남산 정상 표지판, 12:39, 4.34km.
다시 종남산 앞 삼거리, 12:43, 4.47km. 진행은 오른쪽 남은재, 왼쪽 주차장 방향으로 가면 405봉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서야 주차장이다.
강풍에 쓰러진 소나무, 몇년전 산행기에도 쓰러져 있던데 아직 살아있다. 생명력이란....
다시 남은재, 12:57. 5.18km. 봉서사 탐방을 위해 되돌아 내려왔다.
너덜이 낙엽에 쌓여있따.
조릿대는 누구를 기대리며 이렇게 번창했을까.
마른계곡, 사진 정면은 계곡, 길은 계곡을 가로 질러 건너야 한다. 13:07.
이 산은 무수한 바위와 돌을 숨겨 놓고 있다.
굿당. 13:12, 5.53km. 무당들이 산신제를 지내는 곳이라하는데 정확하지는 않다.
굿당에 모셔진 관음보살상
뒤돌아 본 굿당. 13:14
지도(카맵, 네이버맵)에는 여기가 능선에서 내려오는 길과 합류점인데 실제 능선에서 내려오는 길은 없다. 13:23.

https://www.wanju.go.kr/tour/planweb/board/view.9is?dataUid=cfe9671d2a924f099c7ef9207b8993fa&&contentUid=ff8080818c5d9e6d018ca46558b568e4&tmpField14=&boardUid=ff8080818cc8d9ca018cc973fcf3070a&page=1&subPath=/tour

 

완주군 문화관광 > 역사ㆍ문화 > 전통사찰 > 봉서사(읽기)

 

www.wanju.go.kr

 

봉서사 진묵전. 13:29, 6.11km.
진묵전 옆에 있는 진묵조사 유적비.
진묵전 앞에서 본 봉서사 주차장과 요사체.
범종루
대웅전
대웅전 내부1
대웅전 내부2
4곳의 실과 각이 한 건물에 모셔져 있다.
숙우실(?)



영각
칠성각과 산신각
산신각 뒤의 산신 조형물
폭포와 연못, 물이 없다.
폭포에서 본 봉서사
진묵전 옆의 진묵대사 부도 안내판. 진묵대사 부도는 길을 따라 조금 아래에 있다.
진묵대사 유적비 옆 유적탑
진묵전 내부
봉서사 대웅전 앞 마당
대웅전과 뒤의 모습, 봉서사를 나온다. 13:41. 6.53km.
비석군. 13:53
부두전(탑) 입구, 13:51
진묵대사 부도탑, 13:46, 6.7km.
미륵불, 부도전 계단 오른쪽 옆에 있다. 13:49.
납골당, 미륵불에서 더 오른쪽으로 가면 있다. 13:50, 6.9km.
나오면서 부도전을 본다.
계곡은 물이 거의 없다. 14:00
물이 조금 고여 있는 계곡 모습. 14:10.
봉서사 가는 길.
흰까치수영
봉서농원
주차장
종남산에서 주차장쪽으로 가서 405봉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오면 사진의 봉서사/봉서농원 입간판 쪽으로 내려오는 듯하다.
산행 종료, 14:24. 8.41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