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후기

천호산 501.3m 전북 익산 여산면 20240713

원태산 2024. 7. 15. 11:25

* 천호산은 익산시 여산면과 완주군 비봉면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정상 남쪽은 천주교

천호성지를 품고 있고 서쪽 끝 호월편백숲의 정점(표고 150m)에는 등산로를 내어준

여산 송씨 시조묘가 있다. 익산의 외곽에 있지만 2022.09.22 익산시 에서 등산로를

개통할 만큼 익산 3대 산으로 시민이 자주 찾는 산이다. 

이번 장마의 폭우(2024.07.10)로 등산로가 다소 패여있고 등산로 한 곳이 작은

산사태로 나무가 쓰러져 있어 이를 타고 넘어야 했다. 

 

1. 개념도:

 1) 익산시

 2) 티스토리 '풀때기의 산행 

https://100san.tistory.com/8892083

 

* 주차장: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 161-1에서 약 100m 더 안쪽 진행. '윤채농장' 앞.

 

2. 산행경로

주차장-호월편백숲-철탑삼거리-미사굴-능선산거리-천호산 정상-능선삼거리(빽)-

밧줄삼거리-천호터널삼거리-밧줄삼거리(빽)-미사굴입구-철탑삼거리- 호월편백숲-

주차장: 약5.5km, 약2시간 40분(휴식 포함, 점심 제외)

 

3. 트랭글 기록

https://www.tranggle.com/course/TTYyTTRp?year=2024&search_val=&category=&region=&view_count=50&page=1&listTab=MY

 

트랭글 GPS 게임 같은 운동앱, 등산 걷기 자전거 만보기

트랭글은 여러분이 게임 속 캐릭터가 되어 다양한 운동과 정해진 코스를 따라 인증배지를 획득하는 운동앱 입니다.

www.tranggle.com

 

4. 추억 그림

주차장의 이정표, 09:30 출발~!
이정표를 지나자 바로 마주치는 호월편백숲,
09:38 편백숲이 거의 끝나는 지점 부터 이곳의 유명한 고송(오래된 소나무)이 있다.
단풍나무 숲속 길, 09:40
철탑삼거리 이정표, 09:46, 0.87km.

여기 삼거리에서 왼쪽 진행. 오른쪽은 여산송씨 시조묘 가는 길.

등산로는 야자메트가 깔려 있는 길을 따라 진행하면 된다.
백련암 갈림길, 폭우로 이정표가 쓰러져 있고 대나무로 출입을 막은 방향이 백련암 방향임. 09:52. 1.18km.
대나무 숲의 왼편으로 길이 이어진다.
침목계단 1, 09:55. 1.3km.

 

중간 쉼터, 09:58
침목계단 2, 10:02, 1.41km.
오른편에 소나무 숲, 10:05.
쉼터, 10:07.
침목계단 3, 10:09, 1.67km.
갈림길, 직진은 천호산으로 바로 가는 길, 이정표 팻말이 떨어져 나갔다. 오른쪽 미사굴 방향으로 진행. 10:10, 1.69km.
폭우로 길이 많이 패여 있다.
작은 산사태 지점. 10:18, 1.9km.
조망점, 10:22, 1.99km.
조망점에서 부터 침목계단4 가 3단으로 이어진다.
침목계단4의 2단 및 3단 계단.
3단의 침목계단4를 지나면 미사굴을 만난다. 10:25, 2.07km.
미사굴 내부 모습.
미사굴 내부에서 밖을 본 모습.
미사굴을 떠나며. 10:28.
침목계단5, 미사굴 뒤로 올라가는 계단. 10:28. 2.12km.
길이 양측으로 나뉘는데 곧 합류한다. 10:31. 2.17km.
임도 갈림길. 왼쪽 진행. 10:32, 2.19km.
천일사 갈림길, 10:35, 2.23km. 침목계단6(좌)으로 진행
너덜지대를 가로 지른다. 10:38.
침목계단7, 10:39. 2.31km.
침목계단8, 10:40, 2.43km.
침목계단9(1, 2단), 10:44.
침목계단9의 3단, 10:45, 2.46km
능선삼거리 이정표, 10:46, 2.47km.
천호산성 10:52, 2.74km
10:53.
천호산 정상(헬기장), 10:54,
천호산 정상석, 앙증맞다.^^ 10:55.
천호산 정상 표지목, 10:55, 2.8km.
정상의 조망, 동쪽,
동쪽, 좀 더 가까이.
정상의 모습
서쪽, 지난주 다녀온 용화산과 미륵산이 보인다.
서쪽 좀 더 가까이.
정상의 삼각점, 11:11. 2.86km.
능선삼거리(빽)
능선삼거리 이정표, 11:17, 3.16km. 올라왔던 길은 버리고 능선을 따라 내려가기 위해 직진한다.
길이 제법 가파르다.
밧줄삼거리, 길의 왼쪽으로 내려가면 미사굴 입구가 있음. 11:23, 3.29km.
밧줄삼거리에서 정면을 본 모습.
밧줄삼거리에서 정면으로 내려가면 조망점이 나오고 신광수양관이 보인다.
조망점의 끝에 이정표가 있다. 작은 나무와 키 높은 풀이 길을 막고 있다.
겨우 천호터널 갈림길 이정표에 도착. 11:25, 3.32km. 하지만 더 이상 진행하기 힘들어 밧줄삼거리로 되돌아 올라갔다.
다시 밧줄삼거리, 미사굴 방햐으로 내려감. 11:27. 3.35km.
밧줄은 미사굴 입구까지 이어진다;
미사굴 입구의 침목계단이 보인다.
미사굴 입구 삼거리. 11:30. 3.46km.
다시 오를 때 지나갔던 전망점. 11:33.
작은 산사태 지점. 11:35.
갈림길. 직진하면 천호터널갈림길 이정표 지점으로 갈 수 있디만 길이 묵어(나무, 잡초 과다) 미사굴쪽으로 내려 왔다.
갈림길의 이정표, 천호산 방향 팻말이 떨어진 것을 오를 때는 모르고 이제야 알았다. 11:41. 3.81km.
중간 개활지의 조망.
호월마을 갈림길 이정표, 역시 장마에 쓰러졌다. 11:55, 4.61km.
철탑삼거리, 11:56. 4.69km.
노송의 모습
소나무와 편백의 동거.
주차장 도착.
주차장 앞의 윤채농장. 12:10. 5.5km. 산행 종료.

 

5. 가람 이병기 선생 생가

 귀가길에 여산면 원수리(호산리 옆)에 있는 이병기선생 생가를 탐방 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B%B3%91%EA%B8%B0_(1891%EB%85%84)

 

이병기 (1891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병기(李秉岐, 1891년 3월 5일 ∼ 1968년 11월 29일)는 대한민국의 시조 작가 겸 국문학자이다.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호는 가람(嘉藍)이며 전라북도 익산에서 출

ko.wikipedia.org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3,00060000,35&pageNo=1_1_1_0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이병기선생생가 (李秉岐先生生家) : 국가유산포털 - 문화재청

국가유산 검색

www.heritage.go.kr

 



연못, 승운정과 사랑채
연못
승운정 옆 탱자나무
승운정과 사랑채
안채
좌-안채, 우-사랑채
장독대와 헛간채
좌-사랑채, 우-안채
사랑채의 뒷모습.
이병기 선생 사진
수련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52XXX2994669

 

가람문학관

가람 이병기 선생은 익산 출신으로, 우리의 말글과 문화를 지켜내고 시조를 현대적으로 부흥시킨 시조시인이자 국문학자이다. 가람문학관은 이러한 가람 선생의 현대시조 혁신, 국문학 정립

100.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