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후기

데미샘과 천상데미산 1100m 전북 진안 백운면 20230812

원태산 2023. 8. 14. 09:23

1. 개념도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2200&key=20191031.22017012504 

 

근교산&그너머 <1149> 발원지를 찾아서⑤ 섬진강과 천상데미 데미샘

- 전북 진안군의 남쪽 끄트머리 - 장수군과 접한 산줄기 서쪽 - 해발 880m에 위치한 ‘데미샘’ - 마이산 지리산 팔공산 제치고 - 섬진강 발원지로 1..

www.kookje.co.kr

2. 산행경로

데미샘자연휴양림-데미샘-주능선삼거리-천상데미산(깃대봉)-오계치-데미샘자연휴양림:

약5.75km, 약3시간(점심 20분 및 휴식 포함)

 

3. 트랭글 기록

https://www.tranggle.com/course/TTVSM2VE?year=2023&search_val=&category=&region=&view_count=50&page=1&listTab=MY 

 

트랭글 GPS 게임 같은 운동앱, 등산 걷기 자전거 만보기

트랭글은 여러분이 게임 속 캐릭터가 되어 다양한 운동과 정해진 코스를 따라 인증배지를 획득하는 운동앱 입니다.

www.tranggle.com

 

4. 추억 그림

데미샘자연휴양림 관리사무소 옆 주차장에서 출발~! 10:56
관리사무소 앞의 데미샘 안내판 10:57
관리사무소를 지나 조금 가면 갈림길, 왼쪽 포장도는 버리고 오른쪽으로 진행. 10:57
두번재 갈림길에서 오른쪽 진행. 10:58
왼쪽에 계곡을 두고 길은 차츰 올라간다.
이틀전 태풍 6호 카눈이 지나가고 오늘 아침에 도 비가 내려 계곡에는 물이 풍부하여 흘러내리는 소리가 우렁차다.
갈림길, 0.58km, 11:10
데미샘 방향, 진행 방향
휴양림 방향
갈림길의 이정표
귀한 뻐꾹나리를 봤다. 오늘은 운 좋은 날.^^
데미샘까지의&nbsp; 길 모습, 잔돌을 경사로에 따라 깔아 걷기에 편하다.
데미샘, 1.27km, 11:29
풍부한 수량에 데미샘으로 흘러드는 물길이 뚜렷하다. 평소에는 물길이 안보이고 돌틈으로 스며든다는데...
발원지 표지석
데미샘 이정표
데미샘 출발, 1.53km, 11:50
데미샘을 바라보고 오른쪽에 천상데미로 가는 길인 긴~ 첫 데크계단. 11:50
두번째 데크계단, 역시 길~~다. 11:56
중간 이정표, 1.85km, 12:02
수차례의 침목계단과 안전밧줄난간을 지난다.
주능선(금남호남정맥) 삼거리, 2.3km, 12:23
주능선 살거리의 벤치와 진행 방향에 있는 철계단.
삼거리 출발, 12:29
주능선의 모습
천상데미 앞 이정표, 12:38
천상데미정자, 12:38
천상데미 정자 앞 이정표1, 12:38
천상데미 정자 앞 표지목, 천상데미봉(=깃대봉) 1.100m. 2.75km, 12:38
천상데미정
천상데미정 현판, 어두워 잘 안보임.
정장에서 본 팔공산(남) 방향
성수산(남서) 방향
선각산(좌)과 삿갓봉(우)
삿갓봉 뒤의 덕태산
북쪽 방향
북-동쪽(덕유산-기백산 방향)
오늘따라 천상데미정에 나비가 무척 많다.
천상데미를 떠나며 찰칵~! 12:50
산짚신나물
중간 와룡휴양림 갈림길, 3.05km, 12:58
이번 산행 길에는 조릿대(산죽)이 무척 많다.
오게치로 내려가는 침목계단.
오계치, 4.02km, 1319
오계치 이정표.
오계치에서 왼쪽 데미샘휴양림으로 내려가는 길.
흰나비가 쓉싸리에 내려 앉았다.
쓉싸리
달개비
잠자리
헬기장, 4.21km, 13:24, 데미샘휴양림의 시작이다.
헬기장의 등산안내도, 산행코스를 더듬어 본다.
물봉선
산딸나무
임도길
자연휴양관, 13:43
13:45
관리사무소 앞 팔선정, 13:55
주차장 도착, 산행 종료. 13:56